샴페인 같은 탄산 막걸리 복순도가

울산 막걸리 복순도가는 샴페인과 같이 과실향이 가득한 스파클링 막걸리입니다. 천연적으로 만들어진 탄산과 새콤달콤한 맛이 요즘 세대에서 가장 인기 있는 막걸리이기도 합니다. 한국적인 막걸리 맛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술을 못하시는 분들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술이기도 해요.

울산 복순도가 막걸리

울산 울주군에 위치하고 있는 복순도가는 울산 지방에서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가양주로 윗대부터 대대로 내려오던 전통 가양주였고 할머니로부터 이어받은 어머니께서 아들에게 전수하게 되면서 집안 전통 가양주 막걸리를 이어가게 되었습니다. 현재 대표님께서는 현대식으로 새롭게 마케팅하면서 큰 인기를 끌며 세상에 나온 술이기도 합니다.

복순도가 이름 의미

복수도가의 이름의 의미는 어머니 존함에 도가의 도는 都(도시 도), 가는 家(집 가) 자를 따서, 도시와 농촌 지역이 늘 함께 하였으면 하는 마음을 담아 이름을 만드셨다고 합니다.

2000년 중반 가족기업으로 시작했던 복순도가는 현재 우리나라의 막걸리 브랜드로 이름 잡고 성장하고 있으며 핫한 술로 인정받으면서 세계적으로도 인기를 얻고 있는 막걸리 중 하나입니다.

현재는 막걸리 브랜드 중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인기있는 우리나라 막걸리 브랜드로, 많은 사랑받고 있는 제품이기도 합니다. 

천연 탄산막걸리

발효과정에서 당을 추가하게 되면 효모가 당을 흡수하여 더 많은 이산화 탄소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이 이 방법을 이용하여 천연 탄산 막걸리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고 합니다.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탄산은 추가 첨가된 이산화탄소가 아닌 천연 탄산이기 때문에 더 의미가 있는 것 같아요.

복순도가 탄산막걸리

복순도가 막걸리 정보

탁주 막걸리
복순도가 도수 : 6.5도 (6.5%) 
복순도가 가격 : 12,000원 (935ml 기준)
복순도가 유통기한 : 용기에 적힌 표기일까지 
보관법 : 10도 이하의 냉장보관
구매처 파는곳 : 대형마트 및 온라인

복순도가 6.5도 막걸리 가격은 12,000원이고 복순도가 12도 막걸리 탁주는 28,000원으로 온라인에서 구매 하시면  좀 더 저렴하게 구매 하실 수 있습니다. 복순도가 유통기한은 용기 상단 부분에 적혀져 있어요.

복순도가가격

복순도가 홈페이지 온라인가격

  • 복순도가 6.5도 막걸리 12,000원
  • 복순도가 9도 찹쌍탁주 18,000원
  • 복순도가 12도 찹쌀탁주 24,000원
  • 복순도가 슈퍼드라이 6.5 18,000원
  • 복순도가 빨간쌀 막걸리 6.5 12,000원
  • 복순도가 탁주 10도 24,000원

복순도가 맛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막걸리이지만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은 막걸리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찾는 술이기도 합니다. 특히나 화이트 와인이나 당도가 높은 술을 싫어하시는 분들은 조금 거부감이 드실 수도 있어요.

복순도가 막걸리 맛은 새콤달콤한 과실향이 가득 묻어나 있는 맛과 탄산 스파클링이 합쳐진 샴페인과도 같은 맛인데요. 시큼한 맛과 청량한 막걸리를 선호하시는 분들은 엄청 좋아하실만한 술이기도 합니다. 지인은 막걸리 중에 복순도가 막걸리가 가장 맛있다고 했어요.

복순도가맛있게마시는방법

복순도가 막걸리 마시는 법

복순도가는 한국 샴페인과 같은 탄산과 시큼하며서 상쾌한 맛을 가진 막걸리로 시원하게 드시면 더욱 깔끔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구입 후 6시간 안에 10도 이하의 냉장 보관을 하셔야 하는 막걸리로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터지거나 내용물이 새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하시고 보관하시는 게 좋습니다.

막걸리 잔보다는 와인 잔이나 샴페인 잔과 잘 어울릴 것 같은 술로, 유리잔에 따라 드시면 톡톡 튀는 탄산과 소리를 들을 수 있있습니다.  한국적인 샴페인 느낌을 받을 수 있는 막걸리이기 떄문에 특별한 날이나 파티 나루에는 우리나라 전통 막걸리 샴페인으로 축하하는 것도 의미 있을 것 같아요.

  • 뚜껑을 천천이 열고 닫으면서 탄산 배출
  • 유통기한은 표시 되어있기 때문에 확인
  • 구입 후 6시간 이내 10도 이하 냉장보관
  • 탄산으로 인해 뚜껑이 튀어 오를 수 있음 유의
  • 제품 온도가 높아지거나 외부충격으로 터질 수 있음